본문 바로가기
Python/기초 과정

02. 파이썬 자료형

by To올라운더 2023. 6. 9.
반응형

우리는 앞에서 필요한 값들을 변수에 저장하는 방법을 배웠다.

2023.06.06 - [IT 배우기/Python] - 01. 파이썬 변수편

 

01. 파이썬 변수편

0. 이해보단 수긍... 변수에 앞서 2가지만 깊히 생각하지 않고 이렇게 한다라고 알고 시작해주세요. 1. print라는 내장 함수를 통해 터미널창에 문자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원하는 대로 동작하는

to-all-rounder.tistory.com

 

등호(=)를 기준으로 우측에 입력할 수 있는 변수 값들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다.

 

1) 문자형(string)

 - 일반적인 글자를 사용할 때 사용하며, 작은따옴표(') 또는 큰 따옴표(")를 이용하여 표기한다.

str1 = '나는 문자형' # 작은 따옴표
print(str1)
print(type(str1))

str2 = "나도 문자형" # 큰 따옴표
print(str2)
print(type(str2))

\

엔터(줄바꿈)을 포함한 여러줄의 문자를 입력하고자 할 때는 작은따옴표(') 또는 큰 따옴표(")를 3개 이용하여 표기한다.

 - 나중에 배울 사용자에게서 입력 값을 받는 input 내장 함수를 통해 들어 오는 값들은 문자형(string)으로 입력받는다.

  * 사용자에게서 변수값을 전달 받은 age 의 type은 str(문자열)로 나타난다.

반응형

 

 

 

 2) 숫자형(정수형-int, 실수형-float)

 - 파이썬에선는 정수와 실수를 구별하여 사용하는데,

   소수점을 포함하는 숫자가 실수, 소수점을 사용하지 않는 숫자가 정수이다.

 - 파이썬의 언어적 특징으로 변수를 담을 그릇의 사이즈(메모리)를 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표기할 수 있는 최대 값이나 최소 값이라는 개념이 없다.

  - 사칙 연산 중 나눗셈을 하면 결과 값이 정수라도 실수형(float)로 전환된다.

    ex) 8 나누기 2의 결과 값은 실수형(float) 4.0 

 

3) Boolen(참, 거짓)

 - 0과 1을 아는 컴퓨터에 맞는 참(True)과 거짓(False)으로 값을 구별한다.

    * True와 False는 다른 변수로 사용할 수 없는 예약어이다.

 - 문자형(string) 처럼 보이지만 양쪽 끝에 작은따옴표 또는 큰따옴표가 생략되며,

    코드에디터 등을 사용할 경우, 문자열과는 다른 색상으로 표기된다.

 - 사용시, 대소문자 표기에 주의해야한다. 첫글자만 대문자 표기

 

여기까지는 코딩의 'ㅋ'도 몰라도 쉽게 이해가 되었지만,

지금부터가 중요하다!!! 중요한 이유는 언제 이런걸 써? 라는 생각이 들기 때문인데,

마지막 자료형별 비교 내용은 꼭 숙지해야 원하는 형태로 프로젝트를 구현할 수 있다.

각 자료형별 차이와 특징에 대한 개념에 익숙해져야한다.

 

공통된 내용으로 아래의 자료형들은 1개 이상의 값을 저장(관리)할 때 사용한다.

 

4) 튜플(tuple) 

 - 형식 : (3,4,5) 처럼 소괄호를 포함하여 필요한 값들을 표기한다.

             1개일 때는 (3,) 처럼 뒤에 괄호 안에 ','가 포함되어야 한다.(콤마가 누락되면 문자열 또는 숫자형으로 인식한다.)

              print 출력 시에도 소괄호가 포함되어 출력된다.

 - 3, 4, 5 같이 각각의 항목을 요소라고 말하며, 각 요소들이 순서 값을 가지고 있고,

   최초 생성 후 요소 값을 추가, 삭제, 수정할 수 없다.

 - 위의 특징을 이용해 수정되면 안되는 항목이나 고정 값에 사용한다.

 - 튜플 안의 요소는 모든 자료형(튜플, 리스트 등 포함)을 다 넣을 수 있다.

 

5) 리스트(list)

 - 형식 : [4,5,6] 처럼 대괄호를 포함하여 필요한 값들을 표기한다.

              print 출력 시에도 대괄호가 포함되어 출력된다.

 - 튜플과 같이 각 항목의 요소는 순서 값을 가지고 있으며, 각 요소들을 추가, 수정, 삭제 할 수 있다.

  6) 집합(set)

  - 형식 : {2,3,4} 처럼 중괄호를 포함하여 필요한 값들을 표기한다.

              단, 비어 있는 집합 객체를 생성할 때, a={} 처럼 생성할 경우, 해당 객체는 뒤에 배울 dict이 된다.

             print 출력시에 중괄호가 포함된다.

  - 순서가 없고,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

  - 추가, 제거가 가능하다.

set_d = {1,2,3} # 기본형은 중괄호를 이용하여 사용하나, 비어 있을 경우, 생성 방법에 유의
print('set_d : ' + str(set_d))
print('set_d(type) : ' + str(type(set_d)))

set0 = set() # 요소가 있을 때는 중괄호를 사용하나, 없을 때는 set()으로 생성한다.
print('set0(type) : ' + str(type(set0)))
dict = {} # 중괄호만으로 생성하면 dict이 생성된다.
print('dict(type) : ' + str(type(dict)))

set1 = {1} 
print('set1(type) : ' + str(type(set1)))

set2 = {1,} # 콤마가 뒤에 있어도 집합에서는 허용한다.
print('set2(type) : ' + str(type(set2)))

 7) 딕셔너리(dictionary)

  - {name = "홍길동", age = "20"} 처럼 중괄호를 사용하며,

    사전이라는 의미처럼 key와 value 로 1대 1 매칭(한쌍)되는 형태이다.

  - key와 value 한 쌍으로 구성되므로 순서가 의미가 없다.

  - key의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

  - 순서를 가지는 튜플이나 리스트에서 순차적으로 값을 찾아가는 것과는 달리

    요소 키 또는 값을 통해 검색하므로 데이터를 구조적으로 다루기에 검색 속도가 빠르다.

  - JSON(Java Script Object Notation)과 형태가 동일하여 상호 변환이 용이하다.

 

핵심!! 전체 비교 및 정리

구  분 튜플(tuple) 리스트(list) 집합(set) 딕셔너리(dictionary)
공통 사항 1개 이상의 데이터(값)들을 관리(저장)할 때 사용
형  태 소괄호 - (  ) 대괄호 - [  ] 중괄호 + 콤마 - { , } 중괄호 - { Key : Value}
순서(Index) O O X X
중복 허용 O O X (Value) X (Key)
수정 가능 X O O O

 

다음 포스팅은 자료형별 가능한 연산 및 사용법을 다뤄보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