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변수3

03. 상수와 변수 python에서 배운 상수와 변수의 개념은 같다. 다만 몇가지 차이가 있어 해당 내용을 짚고 넘어가겠다. 1. 상수(Constant) - 고정적인 값을 사용할 때 사용하는 값으로 고정되는 값에 따라, 정수형, 실수형, 문자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 상수를 선언할 때에는 python과 달리 어떤 형태의 자료를 입력할지도 알려주어야 하는데, [const + 자료형 + 상수명 = 상수 값;] 으로 구성된다. ( * [자료형 + const + 상수명 = 상수 값;] 으로 선언해도 정상 동작이 가능하다.) - python을 다루던 우리에게 자료형을 선언하는 건 익숙하지 않은 과정이지만, 미리 자료형을 선언하기 때문에 차후 잘못된 자료형으로 인한 오류를 사전에 막을 수 있고, 자료형별로 사용가능한 메모리 할당량이.. 2023. 10. 5.
01. 파이썬 변수편 0. 이해보단 수긍... 변수에 앞서 2가지만 깊히 생각하지 않고 이렇게 한다라고 알고 시작해주세요. 1. print라는 내장 함수를 통해 터미널창에 문자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원하는 대로 동작하는지를 단순히 출력문자를 통해 진행할 예정입니다.) 2. 작성한 코드를 실행하기(run) 위해서는 저장(Ctrl + S)을 한 뒤 (*수정 내용이 저장되지 않았을 경우, 우측 코드 작성 부분에 [파일명.py ㆍ ] 모양이 나타나며, 해당 상태에서는 run을 하여도 수정된 내용이 반영되지 않는다.) 1) VS Code의 우측 상단, Run 버튼 또는 2) 터미널에서 python 파일명.py 를 실행해주면 결과 값을 아래 터미널 영역에서 확인할 수 있다. 01. 변수 파이썬을 다루는 교재들을 보면 대부분 2가지.. 2023. 6. 6.
JS 변수, 자료형 0. 변수에 앞서, alert()와 console.log 창을 이용해 입력된 코드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0-1) alert()를 이용한 결과 확인(접속된 페이지의 메세지) 0-2) console.log()를 이용한 결과 확인 0. 한 문장이 끝나고 난 뒤 세미콜론(;)이 없어도 정상동작 하지만, 가독성이나 오작동을 예방할 수 있도록 세미콜론을 붙여 주는 좋은 습관이 필요하다. 이제 진짜 JavaScript 시작 1. 변수 : 프로그래밍에서 연산을 위해 자료 값을 저장하는 것 예시) name = "Mike"; // 문자열을 입력 age = 30; // 숫자를 입력 유의 사항으로 1. 변수명 = 변수값 ; 형태로 구성한다. 2. 세미콜론(;) 으로 마지막을 알려준다. 생략해도 되지만 오류나 얘기치 못한.. 2023. 5.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