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자형의 특징을 끝내고 이제 숫자형 자료들의 특징을 알아보자.
[2] 숫자형
숫자형 자료는 우리가 일상생활에 쓰는 정수와 실수,
컴퓨터나 다른 특정 용도로 사용하는 2진수, 8진수, 16진수 등이 있는데
이번 교육에서는 정수와 실수만 다루도록 하겠다.
(* 정수와 실수형만 알아도 각 진수별 응용은 어렵지 않다.)
1.정수 vs 실수 차이점 및 등호 연산
정수와 실수를 구별하는 기준은 '소수점이 있는가?' 이다.
같은 숫자 5이더라도 소수점이 있으면 타입도 달라진다.
단, 크기에 대한 연산을 해보면 같다는 것은 알 수 있다.
(* 문자형에서 비교 연산시 사용된 것과 같이
등호가 1개('=')는 변수 선언시 사용하게 되고,
if와 등호 2개('==')를 사용하면 두 변수의 값이 같은지 비교할 수 있다.)
str1 = 5
print(type(str1))
float1 = 5.0
print(type(float1))
if str1 == float1:
print('정수형 변수 str1과 실수형 변수 float1은 크기가 같습니다.')
else:
print('정수형 변수 str1과 실수형 변수 float1은 크기가 다릅니다.')
반응형
2. 사칙 연산
- 우리가 흔히 아는 사칙연산과 다르지 않다.
다만 곱하기 부호를 '*'를 사용한다는 것과 나누기를 '/'를 사용한다는 것만 알면된다.
- 숫자형으로 선언된 변수를 사용해도 되고, 실제 숫자를 바로 사용해도 된다.
- 나눗셈을 하게되면 결과 값에 상관없이 정수형(int)자료도 실수형(float)자료로 변환된다.
int1 = 4
int2 = 6
float1 = 1.5
print('덧셈')#덧셈
print(int1+int2)
print(type(int1+int2))
print(int1+float1)
print(type(int1+float1))
print('뺄셈')#뺄셈
print(int2-int1)
print(type(int2-int1))
print(int2- float1)
print(type(int2- float1))
print('곱셈')#곱셈셈
print(int1*int2)
print(type(int1*int2))
print('나눗셈')#나눗셈
print(int2/3)
print(type(int2/3))
(*작성된 코드와 터미널 결과를 보기 좋게 우측으로 위치 이동)
3. 그 외 연산
- a= 10, b = 4 일 때, 단순 나숫셈은 2.5로 결과가 나타나지만,
몫이나 나머지를 구해야할 때가 있다.
a = 10
b = 4
print(a/b) # 결과 값 : 2.5
그럴 때 아래의 연산들을 사용할 수 있다.
기호 | 동작 | 코드 | 결과 |
** | 제곱(거듭승) | a**b | 10000 |
// | 몫 | a//b | 2 |
% | 나머지 | a%b | 2 |
> | 크다 | a > b | True(Boolen으로 나타남) |
< | 작다 | a < b | False(Boolen으로 나타남) |
a = 10
b = 4
print(a/b) # 결과 값 : 2.5
print(a//b) # 결과 값 : 2
print(a%b) # 결과 값 : 2
print(a**b) # 결과 값 : 10000
print(a>b) # 결과 값 : True
print(a<b) # 결과 값 : False
- 크기 비교의 경우, Boolen(참, 거짓)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후 Boolen편에서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다.
반응형
'Python > 기초 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 파이썬 문자형 특징3 (1) | 2023.06.11 |
---|---|
04 파이썬 문자형 특징2 (0) | 2023.06.10 |
03 파이썬 문자형 특징1 (1) | 2023.06.10 |
02. 파이썬 자료형 (2) | 2023.06.09 |
01. 파이썬 변수편 (0) | 2023.06.06 |